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3-05-09 03:43:38
기사수정


▲ [서울=뉴시스] 전신 기자 =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공동기자회견에서 악수한 뒤 다시 발언대로 자리하고 있다


한국 정부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에게 강제징용 등 과거사에 대한 직접적인 사과, 반성 표현을 요구했지만 성사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기시다 총리는 사과 대신 개인적인 입장을 전제로 마음이 아프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7일 한일 정상회담에 앞서 한국 정부 측은 기시다 총리 자신이 '반성'과 '사죄' 등의 문구를 담은 선언문을 직접 읽어달라고 요청했다"고 8일 보도했다.


이 같은 한국 정부의 사죄 요청 배경에 대해 이 신문은 "해법에 반대하는 (강제징용)소송의 원고 일부와 야당의 반발을 피하기 위해서는 일본의 성의 있는 호응이 필요하다고 봤기 때문이다"라며 짚었다.


하지만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직접적인 사과나 반성 표현 대신 사견을 전제로 한 유감을 우회적으료 표명했다.


니혼게이자이는 "총리는 7일 기자회견에서 반성이나 사죄는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며 "대신 나 자신의 생각이라고 말한 뒤 '과거의 쓰라린 기억을 잊지 않으면서도 미래를 위해 마음을 열어준 것에 감동했다. 마음이 아프다'고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는 전후 70년 담화 발표에 앞서 2015년 4월 미 의회 상하 양원 합동회의 연설에서 지난 2차 세계대전에 대해 '통절한 반성'을 언급했다. 또 같은 해 8월 담화에서는 연설에서 언급하지 않았던 '침략'과 '사죄' 문구를 더해 역대 내각의 입장을 인용한 뒤 "앞으로도 흔들림이 없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니혼게이자이는 "일련의 역사인식 표명의 기초가 된 전후 50년 담화는 자민당이 하야하던 기간의 비자민 연립정권에 의해 만들어졌다"며 "자민당 내에는 반성이나 침략, 사죄와 같은 문구를 반복하는 것에 대한 저항감이 뿌리 깊다"고 전했다.


결국 기시다 총리가 지난 3월 정상회담에 이어 5월 정상회담에서도 통렬한 반성이나 진심어린 사죄라는 표현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것도 당내 반발을 의식한 측면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시다 총리는 7일 정상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힘들고 슬픈 경험을 하게 된 데 대해 가슴(마음) 아프게 생각한다'고 한 발언이 강제동원 피해자들을 위한 발언이냐는 한국측 기자의 질문을 받았다.


그는 "이 말은 그 당시 힘든 경험을 하신 분들에 대해서 나 자신의 심정을 솔직하게 말씀드린 것이었다"며 "나로서는 어려운 시기를 극복해오신 선인들의 노력을 계승해 그야말로 미래를 위해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한 한국 측과 협력해서 양국 국민에 이익이 되는 협력관계를 구축해나가고자 한다"며 즉답을 피했다.


앞서 지난 3월 한국 정부가 강제징용 보상 문제 해법을 발표했을 때 기시다 총리는 "1998년 10월 발표된 '한일공동선언'을 포함해 역사인식에 관한 역대 내각의 입장을 전체적으로 계승하고 있다"고 표명했다.


인용한 '공동선언' 중에는 오부치 게이조 당시 총리가 식민지 지배에 대한 "통절한 반성과 진심어린 사죄"라는 표현이 담겨 있어 한국 정부의 요구에 일본 정부는 화답했다는 입장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hytimes.kr/news/view.php?idx=1493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정기구독
교육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