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8-02-04 19:07:05
기사수정
-초중고가 인재선별 기능을 대학에 미룬 것이 청년실업과 중소기업 인재난의 근본 원인
-학교 교육이 변별력을 상실하면서 대학졸업 이후에도 무한 스펙쌓기의 비극 이어져
-대학을 믿기 어렵다? 그래도 학생 선발권을 학교/교직자에게 돌려주는 데서 시작해야



장관이 바뀔 때마다 학생을 실험실의 쥐로 만드는 입시제도 변경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가 많습니다.

 

우리나라 교육과 관련해 다음 사실들은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1. 언제부터인지 우리 교육이 교육과정을 통한 ‘선별 기능’을 상실해 갔습니다. 과거에는 중학교, 고등학교도 입시로 수월성 경쟁을 했고 그래서 초등학교에서 좋은 중학교를 가지 못하면 일찍부터 직업계 고등학교를 가는 선택을 고민했고 예비고사로 고졸 중에서도 대학 진학 자격을 제한했습니다. 취미와 적성이 아니라 학업 성적으로 학교를 선택했던 과거의 제도도 문제가 많지만 초중고 교육이 학생들의 능력에 대한 판단과 인재 선별 기능을 상실하고 이를 대학들에게 미루고 그래서 모든 학생을 대졸로 만든 것이 오늘날 청년실업의 비극과 중소기업들이 청년 인력을 구하지 못하는 현상이 원인이 됐다고 봅니다.

 

2. 대학과 학과는 성적순으로 정하고 취업은 전공이 아닌데 좋은 일자리를 찾는 Mismatch도 대학의 선택과 선별기능이 잘못된 것에서 기인한 현상입니다. 사회의 인재 수요와 학생들의 적성과 장점이 연결되지 못하는 대학 전공의 비극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3. 우리나라 교육의 비극은 그동안의 입시제도 변화에 중요한 원인이 있습니다. 하향평준화에 주력하면서 변별력이라는 교육의 핵심 기능을 뒷전으로 돌리면 결국 대학 졸업 후에도 무한 스펙쌓기의 이상한 경쟁이 계속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4. 어릴 때 운동 잘하는 학생은 운동, 미술 잘하는 사람은 미술, 노래 잘하는 사람은 노래, 요리 잘하는 사람은 요리의 장인이 되고 그들이 자부심을 갖는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혁신이 필요합니다. 그런 변화가 없다면 지금의 청년 실업과 직장 생활에서 자신의 길을 찾지 못하는 ‘미생’의 비극은 현실에서 계속 이어질 것입니다.

 

5. 교육의 목표와 인재의 사회적 배분에 관한 확고한 철학이 없이 이루어지는 입시제도의 변경은 생명이 위험한 외상에 반창고 붙이는 것과 비슷한 미봉책에 불과합니다 그런 실험은 안하느니만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6. 학생 선발권을 학교와 교육자에게 주어야 합니다. 지금 대학의 기능이 완벽하지 않고 그 구성원들에 대한 사회적 신뢰가 낮더라도 일단 거기에서 출발해야 합니다. 교육부 장관 바뀌었다고 그 한 사람의 철학과 인식에 따라 입시 정책을 획일적으로 정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고질적인 집단주의이자 관치의 전형입니다.

 

좀더 자율적이고 다양성이 강화되는 사회가 되면 어디가 덧날까요? 저는 지금의 교육 부총리보다 더 많고 다양한 학교에서 교육을 해 보았습니다. 그래서 제가 제 학생을 고르는 데 교육부 장관보다 더 못할 것이라는 생각은 안 듭니다. 카이스트 교과부의 획일적 입시제도 안 따르고 우리만의 입시를 합니다만 다른 대학교에 뒤지지 않고 있습니다. 교육부는 과기부처럼 대학을 좀 믿고 자율권을 주면 안됩니까?

 

7. 부모님과 청소년들도 사회의 집단적인 틀에 너무 매몰되지 말고 ‘행복한 인생’이 무엇일지를 놓고 좀더 폭넓은 선택을 고민해 보면 좋겠습니다. 꼭 명문대 나와야 잘사는 것 아닙니다. 서울대에도, 카이스트에도 사회 부적응 폐인 많습니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hytimes.kr/news/view.php?idx=67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정기구독
교육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