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여론조사 3부] 국민들은 언론사 여론조사 믿지 않는다 - 언론사 및 조사기관 여론조사 불신, 20대가 특히 강해 - 언론사들의 구미에 맞는 여론조사만 발표하는 것이 문제 - 조사 공정성 담보되지 않는 여론조사 횡행이 불신 자초
  • 기사등록 2019-09-19 17:52:10
  • 수정 2019-09-20 01:01:58
기사수정



[국민 절반, 방송사 등 언론사 여론조사 믿지 않는다]


Why Times가 소비자전문 조사회사인 ‘컨슈머인사이트’에 의뢰하여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가 방송사 등 언론사의 여론조사를 믿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주고 있다. 특히 불신의 수준이 길거리 여론조사 수준이라는 점에서 심각성은 크다 할 것이다.


9월 16일과 17일 이틀간 조사한 휴대폰과 웹패널을 기반으로 전국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가 그렇다.


일반적인 인구통계 자료에 대해서는 64%가 신뢰하고 있지만 정부가 내놓는 경제통계 자료는 “믿는다: 모르겠다:믿지 않는다”의 비율이 거의 1/3씩 분할하고 있었다.


이와 대비되는 것이 방송사 및 신문사 등의 여론조사 결과였다. 이들 기관들의 여론조사에 대해 26%만이 신뢰한다고 했으며, 46%는 불신의 뜻을 비췄다. ‘모르겠다’는 28%였다.


한편 갤럽·리얼미터 등의 조사 결과에 대해서도 신뢰도는 36%밖에 되지 않았다. 불신은 29%였고, 중립은 35%였다.


반면, 요즘 여론조사들에 대한 불신으로 생겨난 ‘길거리 여론조사’에 대해서 24%는 신뢰한다고 했고, 42%는 믿지 않는다고 답했다. 중립은 35%였다.


문제는 언론사들이 발표하는 여론조사의 신뢰 수치가 ‘걸거리 여론조사’ 신뢰 수준과 비슷하다는 점이다. 그만큼 언론사들이 발표하는 여론조사 결과에 대해 신뢰도가 땅에 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언론사 여론조사 불신, 20대가 특히 강해]


언론사 여론조사에 대한 신뢰도는 특히 20대층에서 약했다.


연령대별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20대층에서 신뢰는 17.3%에 불과한 반면, ‘불신’은 무려 50.4%에 달했다.


가장 신뢰를 보이는 연령층은 60대 이상으로 33.6%였지만 불신도 47.1%나 되었다.



지역별로 보면 그래도 신뢰를 많이 보내는 지역은 강원/제주(29.4%)였고, 그 다음이 광주/전라(29.0%)였다.


반면, 불신이 비교적 높은 지역으로는 대구/경북(20.9%)이 가장 낮았으며, 대전/충청(24.0%), 서울(25.8%) 순이었다.



[여론조사 신뢰도 역시 20대가 가장 낮아]


갤럽이나 리얼미터 등의 여론조사들이 발표하는 자료에 대한 신뢰도 역시 20대가 18.7%로 가장 낮았다. 20대에게서의 불신 비율은 35.9%, 중립은 45.4%였다.



지역별로 봤을 때 여론조사 기관들의 발표자료에 대해 대구/경북 지역의 불신율이 37.2%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이 부산/울산/경남 지역으로 불신율은 31.2%였다.


[여론조사, 왜 이렇게 신뢰를 얻지 못할까?]


그렇다면 여론조사가 여론왜곡이라 할 정도로 폄훼되고 있는 것일까? 가장 큰 이유는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여론과 너무나도 동떨어진 조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를테면 대통령에 대한 국정지지도만 해도 일반적으로 발표되는 조사결과들이 50%내외를 오르내릴 때 ‘여론조사 공정’의 경우 30%대에 머물렀다. 그러나 이 조사결과를 보수 성향의 특정 인터넷매체 말고는 아무도 보도하지 않았다. 이번 우리 신문의 여론조사 결과도 ‘여론조사 공정’의 흐름과 유사하다.


그렇다면 왜 이런 차이가 나는 것일까? 가장 큰 이유는 여론조사 풀의 문제라 할 수 있다. 가두리 양식장에 넣어놓은 고기들같이 이런 저런 방식으로 수집한 전화번호들을 매번 조사때마다 쓴다면 조사 결과 역시 뻔할 수밖에 없다. 특히 탄핵 등의 이유로 충격적 사건을 경험한 사람들의 전회번호가 가두리 양식장에 묶여 있다면 ‘인지부조화’로 인해 태도를 바꾸기 쉽지 않게 된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지난 '박근혜 탄핵'때 아이들을 데리고 촛불을 들었던 40대가 문재인 정부에 문제가 보여도 지지 태도를 쉽게 바꾸지 못한다. 왜냐하면 지난 탄핵 때의 판단이 바뀌는 것에 대한 심리적 갈등이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굳어진 태도를 바꾸는 것에 대한 혼란을 '인지부조화'라고 설명할 수 있다.


그런 연고로 분명히 지지율 하락이 있어야 하는 시점임에도 여론조사 결과들이 꿈쩍도 하지 않는다면 인지부조화 현상으로밖에 설명이 되지 않는 것이다.


결국, 가두리 양식장 내의 번호들이 만약 그렇게 인지부조화를 겪고 있는 사람들이 일정 부분 있다면 여론조사의 결과가 일반 국민들이 느끼는 체감온도와 다를 수밖에 없다. 대체적으로 1000명 조사할 때 그렇게 인지부조화에 빠진 사람들이 10명만 있어도 1%를 좌지우지 한다.


마찬가지로 이른바 '문팬'들이 20~30명만 자리잡고 있어도 국민들 여론과는 다르게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박근혜 탄핵 이전부터 번호를 축적해 온 여론조사 풀이라면 당연히 '인지부조화'로 인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


최근 설립된 여론조사 기관의 결과들과 오래전부터 전화번호를 축적해 온 여론조사 기관들의 현격한 결과 차이가 바로 이러한 문제들로부터 기인된다는 추론도 가능하다.


이러한 조사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여론조사 방식들이 적용되어야 하는데 우리나라 조사회사들은 비용 문제로 감히 탈피할 엄두를 내지 못한다.


그래서 그러한 틀을 과감하게 깬 조사들이 기존 조사들과 상당히 차이나는 결과들을 내놓게 되는 것이다.


한국의 여론조사 상황에서 그래도 가장 정확한 조사 방식은 휴대폰 업체들로부터 가상번호를 받아 조사하는 방식일 것이다. 그러나 이는 선거 때만 선거관리위원회를 통해 받을 수 있다. 평상시 조사에서는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런 저런 방식으로 수집해 놓은 전화번호들을 풀로 쓸 수밖에 없는 상황이 생긴다. 그렇기 때문에 현실과는 상당히 차이가 나는 결과가 나올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니 국민들이 느끼는 체감 온도와 다를 가능성이 높아진다. 당연히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이 생길 수밖에 없다.


특히, 여론조사 회사의 난립 등으로 가격경쟁이 이어지면서 조사의 질 추락도 문제가 되고 있으며, 가격에 맞추기 위해 ARS를 남용함으로써 응답률도 낮아지고 당연히 적극적 의사를 보이는 정치팬덤 그룹의 참여가 높아지면서 그만큼 여론도 왜곡되는 결과를 낳고 있는 것이다.


또 하나 원인은 여론조사를 시행하는 언론사나 여론조사 기관들이 자신들의 의도에 맞게 질문지를 꾸밈으로써 발생하는 여론조작이 횡행하기 때문이다.


의도적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질문지 조작은 대국민 사기나 다름없다. 그럼에도 이러한 조사들이 뻔뻔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은 여론조사의 불신을 가져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이미 시대가 유선에서 무선으로 이동했는데도 아직도 유선전화를 고집하는 조사행태도 문제다. 현재 유선전화 보유가구는 39%에 불과하지만 무선전화는 98%에 이른다. 이렇게 무선전화 시대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한 여론조사 업계의 상황이 지금과 같은 여론조사 질의 추락을 가져오게 된 것이다.


유선전화를 통한 여론왜곡은 우리가 이미 경험한 바 있다. 2012년의 이정희, 이석기 등에 의한 여론 왜곡이 대표적이다.


우리 신문사가 이번에 여론조사를 하면서 유선전화를 과감하게 포기한 것도 이런 배경이 있다.


소비자 전문 여론조사기관인 ‘컨슈머인사이트’에 의뢰한 조사방식이 그래서 무선전화 50%와 웹패널 50% 방식을 적용했다.


조사 결과, 무선전화 응답자와 웹패널 응답자의 결과가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았다.


물론, 어떤 조사방식이 가장 좋은가에 대해 논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미국에서 인정받은 조사방식이라 하더라도 한국 상황에서 꼭 맞다고 볼 수도 없다. 왜냐하면 개인의 의사를 마음껏 표현할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된 미국과 그렇지 못한 우리나라의 상황이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연령대별로도 20대 등의 경우에는 자신의 의견을 마음껏 표출할 가능성이 높지만, 고연령층에서는 자연스럽게 눈치를 봄으로 인해 소신껏 자신의 의사 표명을 하지 못한다. 이런 저런 점들을 감안해 조사 방식도 융통성있게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조사 방식이 국민 여론을 제대로 보여주고 있는 것일까?

판단은 국민 몫이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hytimes.kr/news/view.php?idx=461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추부길 편집인 추부길 편집인의 다른 기사 보기
  • -중국 푸단대학교 한국연구원 객좌교수
    -전 EDUIN News 대표
    -전 OUR NEWS 대표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정책기획팀장
    -전 대통령실 홍보기획비서관
    -사단법인 한국가정상담연구소 이사장

    -저서: 북한급변사태와 한반도통일, 2012 다시우파다, 선거마케팅, 한국의 정치광고, 국회의원 선거매뉴얼 등 50여권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정치더보기
북한더보기
국제/외교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