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9-08-01 14:24:13
기사수정


▲ 31일 KBS 뉴스 9은 민주연구원의 `한일갈등 보고서`마저도 정쟁으로 몰고가는 편향된 보도를 했다. [사진=KBS 뉴스9]


민주당의 이른바 ‘반일감정 총선이용’ 관련 문건의 파장이 커지고 있다.


일본의 수출 규제 등으로 한국경제에 큰 타격이 될 것이 분명한데도, 총선 승리를 위해서라면 국민들이 어떤 고통을 받더라도 상관없다는 듯한  정권의 민낯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대통령과 청와대 수석 등이 ‘이순신 장군’과 ‘동학’ 등을 비유하면서 주도해온 것과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고 본다.  


이에 편승한 방송의 반일 선동 보도의 특징은 과거에 볼 수 없었던 반이성적, 분노를 유발하는 감정적 보도 일색으로 보인다. 사안의 본질에 대한 차분한 분석 대신에 일방적인 일본 때리기 식이다. 


민주당의 문건을 비추어 볼 때, 그야말로 방송이 정권연장의 수단이 되어 버린 것이 아니겠는가?
7월 31일의 'KBS뉴스9'은 민주당 문건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 보다 마치 ‘여야 정쟁’으로 다뤄서, 이번 사안을 축소 보도하는 것 같았다.  


우리는 문재인 정권이 방송을 장악한 후 방송에서 이런 선동적 보도를 수 없이 보아왔다. 


"적폐라는 이름으로 보수 때리기", "김정은 띄우기와 평화공세", "대한항공 등 재벌 때리기", "광주 5.18헬기 기총소사 주장", "탄핵 전후 기무사의 쿠데타 기획설", "기무사 민간인 사찰의혹", "장자연 사건 증언자 윤지오 씨 방송 출연", "김학의 전 법무차관 때리기"  등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방송이 자발적으로 이런 이슈를 만들어 보도했다고 믿기 힘들 정도이다.


윤지오 씨의 경우를 보더라도, 동일인이 여러 방송사에 시차를 두고 출연해서, 비슷한 증언을 하는 것은, 경쟁하는 방송사의 생리상 있을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누군가가 정권에 유리한 것을 기획해서, 방송에 이용하고 있다는 것으로 의심해 볼 수 있다. 말하자면 방송사 뒤의 검은 손, 방송을 통제하는 ‘그랜드 디자이너’ 가 있다고 추측해 볼 수 있지 않는가?     


우리는 지난 2017년 9월의 '방송장악 문건'도 민주당에서 만들었다는 것을 기억한다. 청와대와 민주당은 방송에서 손을 떼라.   


양정철 민주원장은 과거 민주노총산하 언론노조의 기관지인 ‘언론노보’ 기자 출신이다. 그리고 노무현 정권시절에는 청와대 홍보수석실 국내 언론홍보를 담당한 인물이다.


그는 언론을 잘 안다. 그래서 우리는 그의 행보를 예의 주시할 것이다. 


 문재인 정권이 방송을 선거에 이용하려 한다면, 국민들이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다.
방송은 정권의 전리품이 아니다.

국민의 품으로 돌려줘라.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hytimes.kr/news/view.php?idx=434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정기구독
교육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