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28일(현지시간)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에 대해 "나는 북한과의 일련의 이벤트에 대해 더 덧붙일 것이 없다. 하지만 너무 멀지 않은 시기에 고위급 회의가 열리길 매우 기대한다"고 말했다.
리얼 클리어 폴리틱스와 AP통신 등에 따르면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짐 매티스 국방부 장관과 함께 안보 현안을 브리핑하기 위해 상원을 방문한 자리에서 고위급 회담에 대한 질문을 받고 이같이 답했다.
'(북한과의) 합의나 평화협정을 위한 막바지에 와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그들(북한)에게는 (미국과) 의견이 일치할 수 있는 첫번째 기회다. 그렇다"라고 답변했다.
헤더 노어트 국무부 대변인도 전날 브리핑을 통해 북한과 다양한 레벨에서 대화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지만 고위급 회담 일정은 언급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비핵화를 위한 북한과의 외교 노력이 한계에 도달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외교안보 씽크탱크인 미국외교협회의 리처드 하스 회장은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한미연구소(ICAS) 주최로 열린 ‘한반도와 미국의 안보’ 심포지엄에서 안보를 핵 무장에 의지하는 북한이 핵을 포기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면서 현재 상황을 매우 부정적으로 본다고 밝혔다.
미국의 대북 외교 노력은 근본적으로 벽에 부딪쳤으며 북 핵 문제를 풀 방법이 도무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북한의 도발이 줄어서 긴장이 완화됐다는 평가에 대해서는, 대화 국면이 지속되고 있을 뿐이라면서 이런 대화 국면은 마치 평온한 인상을 줄 수 있지만 매우 위험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1~2년 후 군사적 균형이 우리에게 불리하게 바뀐 것을 깨달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하스 회장은 이어 향후 대북 관계에서는 정상간 외교보다 실천이 강조되는 실무급 외교를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Why Times Newsroom Desk
-미국 Midwest 대학교 박사
-월간 행복한 우리집 편집인
-월간 가정과 상담 편집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