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5-02-01 05:03:07
기사수정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으로 개발한 생성형 AI 챗봇과 관련, 일본 집권 자민당의 간부는 이를 다운로드를 해서는 안 된다고 31일 주장했다.


산케이신문, 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오노데라 이쓰노리(小野寺五典) 자민당 정조회장은 이날 중의원(하원) 예산위원회에서 딥시크가 개발한 생성형 AI에게 중일 영토 분쟁 지역 센카쿠(尖閣) 제도(중국명 댜오위다오)가 일본 영토인지 질문했다.


오노데라 정조회장은 딥시크가 "'센카쿠는 역사적 및 국제법상 중국 고유의 영토'라는 사실과는 다른 답변이 돌아왔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당연한 일을 왜곡해 버리는 게 딥시크"라고 비판했다. "이것(딥시크)을 보신 분, 위험하기 때문에 딥시크를 다운로드하는 것은 그만 둬 달라"고 촉구했다.


오노데라 정조회장에 따르면 미국 오픈AI의 생성형 AI '챗GPT'는 같은 질문에 대해 "국제법상 일본 영유권이 확립돼 있다. 일본이 실효지배를 계속하고 있어 일본 영토라고 할 수 있다"는 답을 내놓았다.


오노데라 정조회장은 일본이 AI 분야에서 독자적인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며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총리에게 관련 입장을 질문했다.


이시바 총리는 "신뢰할 수 있는 AI를 개발해 이용할 필요가 있다"며 관련 법안 작성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2012년 9월11일 센카쿠 열도 중 민간 소유인 3개 섬인 우오쓰리시마(魚釣島)·기타코지마(北小島)·미나미코지마(南小島)를 구입해 국유화 했다. 일본이 실효 지배하고 있다.

 

중국은 이에 반발하고 있다. 영토분쟁 지역인 센카쿠 열도에 중국의 선박을 항행시키는 등 항의를 이어오고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hytimes.kr/news/view.php?idx=2150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정기구독
교육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