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8-06-29 16:22:47
  • 수정 2018-12-05 22:29:40
기사수정


▲ 2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에서 진행된 자유한국당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한 김성태 원내대표가 의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서울=뉴시스】


자유한국당이 극복해야할 과제 중의 하나는 “보수(保守)“라는 단어의 수구성(守舊性)과 부정적 이미지이다.

아무리 그 뜻을 좋게 설명하려고 해도 과거지향적인 이미지를 벗어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진보(進步)“와 대비됨에 따라 단어 자체에서 지고 들어가지 않을 수 없다.

한쪽은 퇴행적이고, 한쪽은 역동적이기 때문이다.

자유한국당이 젊은이들의 지지를 얻기 어려운 이유 중의 하나도 보수라는 용어의 틀에 갇혀있기 때문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타파하는 하나의 방안으로 필자는 “공화(共和)”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화는 영어로는 “Republic”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직역하면 “대중(public)에 관한(re)"일 것이다.

즉 국가의 공공성을 강조하는 용어이다.


현재 미국의 공화당과 민주당의 노선에 존재할 것으로 판단되는 차이를 생각해보면 공화의 지향방향은 더욱 분명해진다.

대체적으로 미국의 공화당은 국가의 공공적 기능 또는 사회전체의 질서와 통합을 강조하고, 민주당은 국민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측면 또는 국민의 개별성과 다양성을 강조한다.


한국의 자유한국당도 그 지향하는 바를 보면 미국의 공화당과 유사하게 국민 개개인의 절실한 사연보다는 국가의 공공성과 공공의 질서와 통합을 강조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유한국당은 다른 당에 비해서 국가안보의 확실성을 강조하고, 경제의 경우에도 분배보다는 성장을 중시하며, 다양한 개인의 특수성을 고려하기보다는 전체 질서 유지를 위한 엄중한 법체계를 강조하지 않는가?


원래 로마시대의 “공화”는 원로원(senate)이라는 의회 중심의 정치체제에 시민들에 의하여 선출되는 집정관(consul)의 요소를 가미한 것을 지칭하였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개념이 점차 확대되어 현대에는 대의정치와 주권재민을 중심으로 하는 민주주의의 표상으로 인식되고 있고, 따라서 민주주의 국가든 공산주의 국가든 세계 대부분의 국가들은 모두 자신들을 공화국이라고 지칭한다.


왕정처럼 절대권력을 갖고, 3대 세습을 감행하는 북한도 명칭으로는 공화국이다.

즉 공화야말로 민주주의를 대표하는 용어로서, 특히 로마시대의 연원으로 보면 ”공화“는 왕정․귀족정․민주정이 조화를 이룬다는 뜻(그래서 일본에서 처음에 ”共和“로 번역하여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으로서, 대통령․국회․직접투표를 조화롭게 활용하는 한국의 정치체계에 부합된다.


공화라는 말을 당명에 포함시켜도 좋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지향방향을 그와 같이 표방하면 될 것이다.


사실 “보수”라는 개념은 자유한국당이나 그 전신이었던 당들 또는 지도자들이 내걸었거나 지향했던 내용이 아니다.


일부 정치세력들이 자신들을 “진보”라고 부르던 것이 국민들에게 확산되었고, 그러다보니 그에 반대하는 자유한국당이나 그 전신의 당들은 진보에 대응하는 용어인 “보수”로 지칭된 것이다.


그래서 일부에서는 우파와 좌파로 구분해야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역사성을 모르는 일반 국민들이 이념적 정향을 구분하기가 어렵고, 좌파 쪽에서 이것을 수용하지 않으며, 적지 않은 기간 동안 노력해왔지만 별로 공감대를 확산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 보수와 진보로 구분되는 현재의 상황을 자유한국당이 단기간에 의도적으로 바꿀 수는 없다. 자유한국당이 미국과 유사하게 공화와 민주라는 새로운 구분을 요구한다고 하여 언론이나 국민들이 받아주지도 않을 것이다.


그러나 자유한국당 스스로는 “공화”라고 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나면서 그것이 합리적이라면 언론과 국민들도 수용하게 될 것이다.


“보수 : 진보”, “공화 : 민주”로 정확하게 구분되는 것이 좋지만, “공화 : 진보”로 차원이 다르게 구분되어도 상관없는 것 아닌가?


영국은 “보수당 : 노동당”으로 양분되어 있지 않은가?


무엇보다 공공성을 중심으로 하는 현재의 자유한국당 노선이 공화에 가깝고, 앞으로도 자유한국당은 그 방향으로 지향해 나가고자 하는 것 아닌가?


그렇다면 자기 정체성에 부합되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에 당당할 필요가 있다. 평가는 역사와 국민들에게 맡기면 된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hytimes.kr/news/view.php?idx=191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박휘락 논설위원 박휘락 논설위원의 다른 기사 보기
  •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원장)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국제정치 박사
    미국국방대학교 대학원 국방안보 석사
    2014~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원장
    2012~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부교수
    1978~2009 대한민국 육군 대령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정기구독
교육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