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美, 中 배터리 관세 인상…반사이익 볼까 - 미국, 중국산 전기차·배터리·반도체 등 관세 큰 폭 인상 - 전기차·배터리·태양전지 등 반사이익 기대…철강은 신중
  • 기사등록 2024-05-16 11:37:41
기사수정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진=백악관]


미국 정부가 중국산 배터리에 물리는 관세를 큰 폭 인상하는 방침을 내놓으며, 한국 배터리 업계가 예의주시하고 있다.


지난 14일(현지시각)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일제히 대폭 상향 조정했다. 구체적으로 전기차 관세는 25%에서 100%로 4배 인상했고, 철강·알루미늄 및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 관세는 7.5%에서 25%로 높이겠다는 입장이다. 반도체와 태양전지에 대한 관세도 25%에서 50%로 2배 올렸다.


이에 전기차와 배터리, 태양광 분야에서는 한국 업체들의 반사이익이 기대된다. 반면 철강 분야는 미국행이 가로막힌 중국산이 또 다른 시장으로 대거 유입됐을 있어 한국 철강업체들에게도  악영향이 우려된다.


다만 중국 전기차와 배터리 기업들의 미국 내 점유율이 미미한 수준이어서 당장 한국 기업들의 실익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윤재성 하나증권 연구원은 "현재 미국 시장 내 중국 전기차 및 배터리 기업들의 점유율은 5% 미만으로 미미한 수준"이라며 "단기간에 중국 기업들이 시장 점유율을 확보한 유럽 시장의 사례(전기차 15%, 배터리 40%)에서 볼 수 있듯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에 있는 중국 기업들의 시장 침투를 초기에 막겠다는 미국 정부 의지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미국 및 미국과 가까운 자유주의 진영 내 국가들의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구축 전까지 시장 성장 속도는 다소 조절되겠지만, 장기적으로 미국이 원하는 공급망 구축에 기여할 수 있는 기업들의 경쟁력은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 연구원은 태양전지 분야와 관련해 "미국의 태양광 모듈 수입 중 80~85%는 동남아 4개국 혹은 인도 등을 통해 인수돼 직접적으로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상승이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며 "하지만 올해 6월 이후 동남아를 우회해 수입되는 중국 태양광 모듈에 대해 254%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면 파장이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세 인상과 별도로 저렴한 중국산 배터리에 공급 과잉 문제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윤진식 한국무역협회(KITA)장은 최근 미국의 대중국 관세 인상 소식을 접하고 "한국 기업에 그렇게 불리한 것은 아니지 않느냐(고 본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값싼 제품이 유입돼 시장을 교란하는 것을 막겠다는 의도인 만큼 한국에 부정적인 영향보다 긍정적인 영향이 클 것이란 관측이다.


반면 한국 철강업계는 미국으로 향하던 중국산 물량이 대거 한국을 비롯한 또 다른 국가로 유입되면서 가격 하방 압력이 거셀 수 있다고 본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hytimes.kr/news/view.php?idx=1885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정기구독
교육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