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정세분석] 국가부도 위기에 내몰린 러시아 - 세계 3대 신용평가사, 러시아 신용등급 대폭 하향 - 지속적인 압박, 이젠 MSCI에서도 퇴출, 해외자본 빠져나갈것 - 최대 위기에 내몰린 러시아, 3주 버티기도 힘들 듯
  • 기사등록 2022-03-05 22:52:14
  • 수정 2022-03-06 08:27:26
기사수정



[러시아, 국가부도 임박]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무디스, 피치 등 세계 3대 신용평가사가 일제히 러시아의 국가신용등급을 낮추면서 러시아의 국가부도 위기가 임박했다는 전망이 커지고 있다.


특히 세계적인 신용평가사들이 러시아의 국가신용등급을 추가로 더 하향할 가능성까지 밝힌 터라 언제 부도가 닥쳐도 이상하지 않는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는 것이다


S&P는 3일(현지시간) 러시아의 달러화 표시 장기국채와 루블화 표시 국채의 신용등급을 각각 'BB+', 'BBB-'에서 'CCC-'로 일제히 강등했다.


S&P의 신용등급에서 그동안 러시아의 달러화 표시 국채 신용등급이었던 BBB-는 투자적격등급 가운데 최하위였는데 이 등급이 CCC-로 추락했다는 것은 8단계가 하락했다는 것이고, 루블화 표시 국채의 신용등급 BB+는 BBB-보다 한 단계 낮은 투자부적격 최상위였는데 이 역시 CCC-로 추락해 결국 회복 가능성이 거의 없는 디폴트(채무상환불이행) 임박 상태로 떨어졌다는 의미다.


사실상 CCC-는 투자하면 원금과 이자 상환 가능성이 의심스럽다는 평가로, 국가부도를 뜻하는 등급인 D보다는 두 단계 위다.


이와 관련해 S&P는 ”이번 강등 조치는 본사가 보기에 디폴트의 위험을 실질적으로 높일 가능성이 있는 조처들이 시행된 데 따른 것“이라면서 ”가혹한 경제 제재에서 루블화 가치를 보호할 목적으로 러시아 당국이 도입한 자본통제 등이 그런 조처에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S&P는 그러면서 ”향후 러시아의 추가 신용등급 하향도 가능할 수 있다“면서 러시아 국가신용등급의 전망도 부정적으로 유지했다. S&P는 또한 “러시아가 국제사회의 제재로 이용 가능한 외환보유액이 반토막났다”고 추정했다.


S&P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군사작전을 개시한다고 밝힌 이튿날인 지난 2월 25일 이미 러시아의 신용등급을 ‘BBB-’에서 ‘BB+’의 투기 등급으로 강등하고 추가 하향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역시 피치(Fitch)도 2일(현지시간) 러시아의 국가신용등급을 BBB에서 6단계 낮은 ‘B’(투기 수준)로 하향 조정하면서 추가 하향이 가능한 ‘부정적 관찰 대상’에 올렸다. 이 정도 수준이면 지난해 국제통화기금(IMF) 기준 세계 11위 경제대국인 러시아 채권이 사실상 중남미 볼리비아와 같은 휴지 조각으로 추락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해 피치는 “미국을 비롯한 서방세계의 제재가 러시아의 신용 펀더멘털에 큰 충격을 주고 있으며, 이에 따라 부채 상환 능력 및 의지, 거시 경제의 안정성 등을 약화시켰다”며 “이는 러시아의 정부부채 상환 의지를 훼손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피치 기준으로 볼 때 BB+ 이하 채권은 투기 등급으로 취급한다.


무디스 또한 러시아의 신용등급을 Baa3에서 B3로 6단계 하향 조정했다. 이에 대해 무디스는 “서방세계의 제재 범위와 강도가 예상을 뛰어넘는다”고 했다.


[지속적인 압박, 이젠 MSCI에서도 퇴출]


이렇게 국가신용등급이 전면 추락한 가운데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러시아를 신흥국 지수에서 제외한다고 밝혀 충격을 주고 있다.


MSCI는 “자산 소유자, 자산 관리자, 거래소를 포함한 다수의 참여자로부터 러시아 주식 시장이 현재 투자할 수 없는 시장이라는 피드백을 받았다”며 “러시아 루블화 가치의 급등락 폭이 커졌고, 서방 국가들의 경제제재 등으로 러시아를 더 이상 투자 가능한 시장으로 보기 어렵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로써 모든 지수에서 러시아 주식을 사실상 퇴출함과 아울러 러시아 지수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역시 사실상 거래가 정지되는 상황을 맞게 됐다.


이와 관련해 한국투자신탁운용은 3일, 긴급 공시를 통해 “MSCI 측에서 지수에 포함된 러시아 주식 가격에 0.00001을 적용한다는 의견을 통보해왔다”면서 “해당 상품은 지수산출의 중단, 상관계수 요건 미충족, 장외파생상품 거래상대방 위험 등 발생시 상장폐지가 진행될 수 있다”고 알렸다. 이 ETF의 자산 가치가 사실상 ‘0원’이 된다는 뜻이다.


주목할 것은 MSCI가 글로벌 펀드들이 국가별 투자 비중을 결정할 때 가장 중시하는 지표라는 점이다. 이렇게 러시아가 MSCI에서 퇴출됨으로써 그동안 러시아에 투자됐던 외국인 투자 자금이 썰물처럼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다.


한편 유럽중앙은행(ECB)은 러시아 최대 은행인 스베르방크의 유럽 본부 폐쇄를 명령했다.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금융 제재가 시작된 후 유럽에서 러시아 은행이 폐쇄된 첫 사례다.


블룸버그는 “한때 시총 1000억 달러(약 120조 원)를 넘었지만 서방의 제재 철퇴를 맞은 러시아 대표 은행 스베르방크는 2일 영국 런던증권거래소에서 단돈 ‘1페니(약 17원)’에 거래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올 들어서만 99.7% 떨어지며 주식이 휴지 조각이 된 것이다.


이런 상황을 감안할 때 현재 문이 닫혀있는 러시아의 증시가 다시 문을 열더라도 자본이 썰물처럼 이탈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미국은 2일(현지시간) “러시아의 핵심 자금줄인 정유사들을 대상으로 수출 통제 조치를 내린다”며 “에너지 공급국가로서 러시아의 위상을 떨어뜨리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미국의 이러한 조치는 원유와 가스 추출 장비의 수출을 막아 정유시설의 고도화를 막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또한 최악의 경우에 미국은 러시아산 원유와 가스 수출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러시아 에너지업계에 대한 제재가 국제 유가 상승을 부추기고 인플레이션 위험을 고조시킬 수 있는 만큼 신중하게 처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은 그러한 카드를 써야 하는 상황이 초래되기 전에 러시아 경제를 무너뜨릴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이와 함께 러시아의 무기 개발 및 생산 능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22개 러시아 국방 관련 기관도 제재 대상에 올렸다. 전투기, 전투차량, 미사일, 무인 항공기 제작 업체들이 포함됐다. 이러한 제재는 러시아의 경제 수익에 무기 수출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또한 미국은 벨라루스에 대한 기술 및 소프트웨어 수출도 금지했다. 벨라루스에 대해 제재를 가하는 것은 러시아의 핵심 조력자 노릇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같은 날 유럽연합(EU)도 러시아 은행에 이어 벨라루스 은행들까지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 결제망에서 퇴출하기로 결정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러시아 루블화의 가치는 사상 최저로 떨어졌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3일(현지시간) 오전 모스크바 외환거래소에서 루블화 환율은 달러당 117.5루블, 유로당 124.1루블까지 치솟았다. 러시아 루블화의 가치가 달러당 110루블을 넘어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크라이나 침공 전까지만 해도 1달러당 75루블 수준이던 러시아 통화 가치는 계속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러시아는 루블화의 가치 추락을 막기 위해 기준금리를 기존 9.5%에서 20%로 끌어올리는 극단적 조치를 취했지만 별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러시아 외환시장이 당분간 큰 변동성을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대 위기에 내몰린 러시아]


이렇게 러시아의 국가 신용등급이 추락한 가운데 JP모건은 “러시아가 3월 한 달에만 7억 달러(약 8400억 원) 이상의 부채를 갚아야 한다”며 디폴트 가능성을 거론했다.


러시아는 지난 1998년에도 루블화 국채의 모라토리엄(지불 유예)을 선언하며 사상 최초로 부도를 맞은 바 있다. 당시 미 달러 표시 채권은 상환하면서 파국은 면했지만 이번에 만약 국가부도를 맞게 되면 달러 부채 또한 갚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위기감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이 러시아 중앙은행까지 제재하며 사실상 자금줄을 차단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러시아 경제에 대한 위기가 급부상하면서 러시아가 3주 이상 버티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러시아의 경제 위기와 관련해 뉴욕타임스(NYT)는 "푸틴 대통령의 경제 제재 방지 노력이 크게 실패했음을 시사한다"고 진단했다.


이렇게 러시아 경제의 위기에 더욱 주름살을 안기고 있는 것은 러시아의 억만장자들의 재산들이 천문학적 수준으로 증발되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의 CNBC방송은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 억만장자지수를 인용, “이번 침공에 따른 경제적 혼란으로 최근 몇 주 동안 러시아 최상위 부자 20명이 총자산의 3분의 1에 가까운 800억 달러(약 96조6천억 원)를 날렸다”고 보도했다.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서방의 고강도 경제 제재와 자산 압류 조치, 루블화 폭락 등이 그 원인”이다.


유럽연합(EU)의 제재 명단에 올린 러시아 재벌 알리셰르 우스마노프와 이고르 세친의 초호화 요트가 독일과 프랑스에서 각각 압류되었고, 루블화 폭락 등으로 인해 볼가그룹을 이끄는 겐나디 팀첸코의 보유 자산은 220억 달러(약 26조6천억 원)에서 110억 달러(약 13조3천억 원)로 반 토막이 났다.


문제는 러시아 최고 부호들의 재산 감소는 이제 시작일 뿐이라는 데 있다. 러시아에 대한 세계 각국의 경제 제재가 계속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주요국들이 러시아의 신흥재벌들까지 자산을 압류 또는 동결하기 시작했고, 여기에 제재 여파로 루블화 가치가 추가 급락하면 이들의 자산이 더 쪼그라들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주요 글로벌 기업들의 탈 러시아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다. 러시아에 17개 매장을 둔 이케아도 러시아 뿐만 아니라 벨라루스까지 매장 폐쇄를 결정했고, 완성차업계의 포드·GM·폭스바겐, 항공사인 보잉·에어버스, 빅테크인 애플·페이스북·넷플릭스·유튜브도 러시아 제재에 동참했다.


또한 디즈니와 워너브라더스, 소니 등 미디어·엔터테인먼트업계, 머스크와 MSC 등 글로벌 해운사, 셸,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 등 대형 에너지 기업도 탈러시아를 선언했다.


이렇게 러시아 경제는 대폭 축소되고 있으며 아예 글로벌 경제로부터 고립까지 되면서 이젠 풍전등화의 위기에 처해 있는 것이다. 감히 상상도 못할 제재가 러시아에 대해 가해지면서 이젠 러시아의 국가 존재마저 위태로워지는 상황으로 흘러가고 있다.


결국 푸틴의 오만함과 물불 안가리는 분노조절 장애가 러시아라는 나라를 이렇게 존망의 협곡으로 끌고 가고 있는 것이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hytimes.kr/news/view.php?idx=1091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추부길 편집인 추부길 편집인의 다른 기사 보기
  • -중국 푸단대학교 한국연구원 객좌교수
    -전 EDUIN News 대표
    -전 OUR NEWS 대표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정책기획팀장
    -전 대통령실 홍보기획비서관
    -사단법인 한국가정상담연구소 이사장

    -저서: 북한급변사태와 한반도통일, 2012 다시우파다, 선거마케팅, 한국의 정치광고, 국회의원 선거매뉴얼 등 50여권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정치더보기
북한더보기
국제/외교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