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2-02-05 21:26:20
  • 수정 2022-02-07 14:48:05
기사수정


▲ 1월14일 북한이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한 후 사흘 만에 다시 발사체를 발사한 17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관련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논의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회의가 열린 날, 미국 등이 발표한 규탄성명에 불참한 데 대해 외교부는 이미 정부가 규탄 입장을 냈다고 강조했다.


5일 외교부 당국자는 "우리 정부는 미국을 비롯한 주요 안보리 이사국들과 현 한반도 정세 및 향후 대응방향에 대해 긴밀히 소통 중"이라며 "유엔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논의를 주시하면서, 주요 안보리 이사국들과 긴밀히 소통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이 긴장 조성과 정세 불안정 행위를 중단하고 외교적 해결의 길로 조속히 나올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미국 등 9개국이 별도로 낸 규탄성명에 참여하지 않은 배경과 관련해서는 "우리 정부의 규탄 입장 기발표 등 제반 상황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대응해 나간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는 지난달 30일 북한의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발사를 "규탄한다"고 밝힌 바 있다. 1월 들어 발생한 북한의 앞선 6차례 무력시위에 '유감' 입장만 표명하다가 처음으로 내놓은 공개 규탄이었다.


4일(현지시간) 안보리는 북한이 지난달 30일 IRBM 화성-12형을 발사한 문제를 다루는 비공개 회의를 미국 요청으로 소집했다. 지난달 10일, 20일에 이어 올해 들어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열린 3번째 회의였다.


앞서 열린 2번의 회의는 단거리탄도미사일을 발사한 데 대한 회의로, 안보리 차원의 성명 등 공동대응 없이 끝났다.


이번엔 북한이 4년여 만에 IRBM을 쏘며 지난달 20일 예고한 핵실험·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유예 철회에 바짝 다가선 상황인 만큼 공동조치가 이뤄질지 관심이 집중됐다. 2017년 6월 북한이 화성-12형 등 중·단거리 미사일을 연이어 발사하자 안보리는 대북 제재 결의 2356호를 만장일치로 채택해 개인 14명을 제재 대상에 추가 지정한 바 있다.


하지만 이번 회의에서도 미국과 중국은 이견만 노출했다. 장쥔 유엔 주재 중국 대사는 회의에 앞서 기자들에게 "미국은 한반도 문제의 직접 당사자"라며 "만약 그들이 어떤 새로운 돌파구를 원한다면, 진정성과 유연성을 더 보여야 한다"라고 말했다.


미국, 알바니아, 브라질, 프랑스, 아일랜드, 일본, 노르웨이, 아랍에미리트(UAE), 영국 등 9개국은 별도 공동 약식회견을 통해 북한 무력시위 관련 안보리의 적극적인 역할을 촉구했다. 이중 일본은 안보리 이사국이 아닌 국가로서 유일하게 참여했다. 한국은 앞서 열린 2번의 회의에서 나온 미국 주도의 별도 공동성명에도 불참한 바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hytimes.kr/news/view.php?idx=1069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정기구독
교육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