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닫기
교육
-
학습혁명포럼, ‘21세기 교육혁명 위한 미래교실 네트워크 전략’ 세미나 열어
학습혁명포럼(Learning Revolution Forum, 회장 김태완)이 지난 15일 미래교실네트워크 정찬필 사무총장을 초청하여 “21세기 교육혁명을 위한 미래교실 네트워크의 전략”이라는 주제로 11번째 세미나를 개최했다. 정찬필 사무총장은 이 세미나를 통해 21세기 교육이란 정답을 찾는 것보다 문재해결과 공감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사 ...
2018-11-19 추부길
-
서울시교육청, 공·사립 감사 형평성에 심각한 불균형 확인돼
기회평등학부모연대(이하 기학연)가 서울시의회 여명의원(교육위원회)실 협조 하에 지난 3년간 서울시교육청 공·사립 중·고등학교 감사결과보고서를 전수 분석한 결과, 공·사립 간 감사형평성에 심각한 불균형이 확인되었다.서울시교육청은 2016년부터 금년 7월까지 261개(전체 711개 학교 수의 36.7%) 중·고등학교에 대한 감사를 실시해서 1,1...
2018-11-04 추부길
-
[심애국 칼럼] 학교에서 맨 처음에 그리고 가장 강조해서 가르칠 것
오늘날 우리나라의 위기는 모두 학교교육, 특히 전교조 교사들의 30년 노력의 결과물이다. 그들이 그람시의 진지론에 따라 학교에서 의식화교육을 시작해서 사회에 각계각층에 공산주의, 친북, 종북, 좌파 사상을 가진 자들이 포진시켰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 학교교육의 과목별 시간 비중은 인문사회과목이 47%, 과학기술과목이 30%, 예...
2018-11-02 심애국
-
[이병태논평] 유치원·병원이 왜 ‘비영리’여야 하나
유치원 사태의 본질적 문제는 교육사업이 비영리법인이라는 것이다.영리란 사업의 이윤을 추구하고 그 이익을 구성원에게 분배하여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비영리 법인은 이윤을 구성원에게 분배하지 않지만, 비영리사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비영리라는 본질을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영리 사업을 할 수 있다고 ...
2018-10-30 이병태
-
[이병태칼럼] 북한식 탁아소 만들기 위한 마녀사냥
농민들은 수 많은 직불금을 받습니다. 그런데, 농민들이 그 돈 어떻게 사용하는지 정부의 감사를 받을까요?그 농민이 직불금 받은 돈으로 술 사먹고, 명품 가방 사면 비리 농민일까요?자영업이 무엇일까요? 사업의 자금과 내 개인돈이 구분이 안되는 것이 자영업입니다.편의점 주인은 정부로부터 요즈음 고용안정기금이라는 지원금을 받습...
2018-10-29 이병태
-
[제3의 길 논평] 사립유치원 비리? 엉뚱한 마녀사냥을 우려한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11일 교육부 국정감사를 통해 2013년부터 5년 동안의 감사에서 비리가 적발된 유치원 1878개의 명단을 공개하면서 사립유치원의 비리 문제가 엄청난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다.교육부는 거대한 여론의 분노에 편승해 감사적발 유치원의 실명을 공개하고 종합감사도 벌이겠다고 밝혔지만 한국유치원총연합회(...
2018-10-29 주동식
-
[그래픽뉴스] 세계 각국 부모들, 자녀 숙제를 얼마나 도울까?
세계 각국의 부모들은 자녀 숙제를 위해 얼마나 많은 시간을 소비할까?2018년 세계경제포럼이 조사한 바에 의하면 인도가 매주 12시간으로 가장 많고 터키가 8.7시간, 싱가포르가 7.9시간인 것으로 자녀 숙제를 위해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중국은 7.2시간이며 미국은 6.2시간이었으며 한국은 5.4시간인 것으로 밝혀졌...
2018-09-23 추부길
-
[박상주칼럼] 머리·손·가슴이 조화를 이루는 참교육이 그립다!
학교는 많지만 교육은 빈곤하다. 캠퍼스는 많지만 인격도장은 드물어 보이는 세상이다. 선생은 하다하지만 참 스승은 적고 교사와 교수는 많아도 교육자는 부족하다.우리는 이러한 비판의 소리를 요즘 들어 많이 듣는다. 이 비판은 많은 진실을 포함한다. 오늘날 한국 교육은 중대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교육자의 생활난, 과중한 사무량, 사...
2018-09-22 박상주
-
[이병태 칼럼] 시대의 문제 도외시한 한심한 교육부
대한민국 중요 교육 개혁 이슈가 수능비중, 수시 정시 비중 조절인가?AI가 수학을 가르치는 세월에 한국의 대기업들은 인재 뽑는다고 해외에 연구소 세우고 청년들은 일자리 없다고 아우성이고 기업에서 보면 너나없이 대학 졸업장은 내미는데 실력은 없는 이 시대에 대학입시에서 수시 정시 비중이나 조절하는 게 대한민국 교육 현안이라...
2018-08-30 이병태
-
국가백년대계 3-대학의 자유를 쟁취하라 !
대학의 학문적 자율성은 헌법에 천명된 가치이다. 대한민국 대학은 이처럼 소중한 헌법 정신 덕에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겉모습이나마 제법 모습을 갖출 수 있었다. 그러나 그 탄생사에서 성장사에 이르기까지 ‘대학의 자유, 교육의 자유’라는 진정한 생명적 가치를 가꾸어왔느냐는 점에서는 부끄럽다 아니할 수 없으며 최근에 ...
2018-07-19 천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