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희 whytimes.newsroom@gmail.com
일본과 중국 기업들이 우선 협력 대상국으로 모두 한국 기업을 선호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0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에 따르면 한·일·중 3국의 매출액 1000대 제조기업(한 100·일 107·중 111)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제협력 관련 조사 결과, 일본과 중국 기업들은 한국 기업과의 협력 의사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10점 기준 상대국 기업과의 협력 의향을 조사해보니 일본 기업은 중국 기업(평균 4.7점)보다 한국 기업(5.2점)을, 중국 기업 역시 일본 기업(6.5점)보다 한국 기업(7.1점)과의 협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기업은 양국 기업간 협력의향이 비슷한 수준(일본 6.3·중국 6.1점)으로 조사됐다.
3국 간 관계 개선 필요성에 대해서는 한국 75.0%, 일본 46.7%, 중국 45.0% 순으로 한국 기업들이 가장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 개선이 필요한 주요 이유로 한국 기업은 ▲기술 협력 등을 통한 경제적 이익 확대(49.3%)와 ▲공급망 안정(26.7%)을 꼽았다. 중국 및 일본 기업의 경우 ▲동북아 안보 및 평화(일 40.0%·중 44.0%), ▲기술 협력 등을 통한 경제적 이익 확대(일 32.0%·중 30.0%)보다 응답 비중이 높았다.
상대국 기업과 협력을 희망하는 분야를 묻는 질문에서 일본은 반도체 및 첨단소재 분야(25.5%)를 1순위로 택했다. 한국과 중국 기업은 안정적 전력공급 및 기후변화와 관련된 원자력·수소·신재생에너지(한 25.2%·中 23.9%)를 1순위로 꼽았다.
경기회복 가능 시점에 대해서는 한·일은 이미 회복했다(한 25.0%·일 57.0%)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중국은 2025년 하반기(24.3%)에 회복될 것이라는 비중이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