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닫기
-
[정세분석] 직격탄 맞은 中 태양광, 美 전면 수입금지
[직격탄 맞은 중국 태양광, 美 전면 수입금지]저가 공세로 세계 시장을 휘젓던 중국의 태양광 산업에 급제동이 걸렸다. 미국 정부가 중국의 신장(新疆) 위구르족 인권탄압과 관련됐다는 이유로 5개 중국 기업에 대해 미국 기업의 수출을 제한했기 때문이다.미 상무부는 지난 23일(현지시간) 중국의 호신실리콘산업(Hoshine Silicon Industry Co), 신장...
2021-06-28 추부길
-
[논평] 감사원장의 반란
[감사원의 탈원전 감사 연기, 이유가 있었다]월성 원전 1호기 조기 폐쇄 결정의 타당성에 대한 감사원 감사가 지난 2월 말로 법정 기한을 넘겨 발표하지 못한 데는 정부기관의 의도적 비협조와 청와대 등 권력기관들의 압박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문재인 정부의 핵심 공약인 탈원전과 관련해 한수원(한국수력원자력)의 2018년 6월 월성 1호기...
2020-05-11 추부길
-
[여론조사 1부] 조국 임명 찬성 30.5% 불과, 文국정 지지 겨우 30.7%
[Why Times 첫 여론조사, 문재인정부 실체 드러나]Why Times가 소비자전문 조사회사인 ‘인사이트리서치’와 함께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국정지지도는 30.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못한다’는 43.9%, 중립 25.4%였다.이와 함께 조국 법무부장관 임명에 대해서도 찬성은 30.5%에 불과했으며 국내 경제상황에 대해서도 69.7%...
2019-09-18 추부길
-
[줌인]"원전이 세계를 기후변화로부터 구할 수 있다" NYT 칼럼
원전을 확대하는 것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가장 빠른 방법이며 이산화탄소(CO₂) 의존으로부터 탈피하는 길이라고 미국과 스웨덴의 전문가들이 주장했다. 아메리칸 대학 국제관계학의 조슈아 골드스타인 명예교수, 스웨덴의 에너지 엔지니어 스타판 크비스트, 스티븐 핑커 하버드대 심리학 교수는 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 오피니언...
2019-04-08 김정희
-
[논평]미세먼지로 하루 6.4개피 담배피운 국민, 정부는 뭐했나?
[최악의 미세먼지, 모든 국민들이 하루에 강제로 6.4개피 담배를 피운 셈]최악의 미세먼지가 대한민국을 덮쳤다. 1급 발암 물질인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관측이래 사상 최고치인 144㎍/㎥를 기록했다. 지난 2주간 국내 상공에 오염물질이 차곡차곡 쌓인데다, 5일 오후부터 중국발 오염물질이 추가로 유입된데 따른 결과로 보인다.최악의 미...
2019-03-06 추부길
-
마크롱 "탈원전 속도 10년 늦춘다"…유류세 민심 달래기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탈원전 목표 시기를 10년 미루겠다고 밝히며 유류세 인상에 항의하는 민심 달래기에 나섰다. 27일 AP에 따르면 마크롱 대통령은 프랑스 대통령실 엘리제궁에서 신규 장기 에너지 전략을 발표하며 탈원전과 화석연료 감축 계획의 속도를 늦추겠다고 밝혔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연설을 통해 "국민의 기대...
2018-11-28 김정희
-
탈원전 반대시위하는 한수원 김병기 노조위원장[10월 29일 국회앞]
2018-10-29 추부길
-
서울대에 트루스포럼의 탈원전 비판 대자보 등장
서울대학교에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을 비판하는 대자보가 붙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서울대 트루스포럼의 김보라 학생 명의의 이 대자보는 "무식한 文정부의 탈원전 정책.. 추락하는 국가경쟁력, 2030 실업청년들 어떻게 책임질거냐?"는 제목으로 신랄하게 이 정부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있다.이 대자보는 "비합리적 좌파 이념이 과학을 삼켜...
2018-07-27 조평세
-
[Why] 탈원전 추진 한수원 이사들, 해외 원전 시찰은 왜?
문재인 정부 들어와서 말도 많고 탈도 많은 탈원전 작업이 앞뒤 보지도 않고 진행되고 있다.탈원전 1년이 지나면서 후유증도 현실화하고 있다. 월성 1호기 폐쇄와 신규 원전 건설 백지화로 600여 중소기업으로 짜인 원자력산업 생태계는 흔들리고 있다. 원전 4기 백지화만으로 3만 명 일자리가 날아갔고, 대학에선 미래 원자력 인재 씨가 말라...
2018-07-23 추부길
-
탈원전은 대한민국 멸망의 비단길 까는 것
이 글은 지난 5월 12일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열린 [대한민국 위기와 활로: 문재인정권 1년 평가] 5회 연속토론회의 세 번째 순서 ‘탈원전과 에너지 정책’ 토론회의 지정 토론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70년 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던 1948년 전세계 최빈국이었던 대한민국은 이제 세계 9번째로 무역 1조 달러를 달성하고, 세계경제...
2018-05-20 주동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