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보수운동
-
미워도 등 돌릴 수 없는 조국 [한강의 기적, 한강의 저주]2016년 여름까지는 어느 누구도 대한민국이 이토록 비틀거리게 되리라고는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돌이켜보면 ‘나라가 위태롭다’고 느꼈던 일은 한 두 번이 아니지만 그것은 대부분 나라가 정치적으로 혼탁해지고 부패와 비리가 자라고 국민정신이 너무 세속적·물질적이 되어간다는 걱정이었지, 정말 나라의... 2018-08-15 조평세
-
자유민주주의와 테세우스의 배 교육부는 지난달 교육과정 개정안을 내놓고 행정예고를 거쳐 이달 중 확정하기로 했다.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의 교육과정과 집필 기준에서 ‘자유민주주의’는 모두 ‘민주주의’로 대체됐다. 대한민국이 ‘한반도 유일 합법 정부’라는 표현도 사라졌다. 지난 2월 같은 내용의 교육과정평가원 시안이 공개됐을 때는 최종적으로 결정... 2018-08-14 조평세
-
보수주의, 아름다운 진리의 원형을 찾아 나서는 길 홀로코스트는 고대 그리스에서 신에게 동물을(holos) 태워서(kaustos) 제물로 바치는 것을 의미하는 말이다. 역사상 어떤 학살보다도 미신적인 광기로 이루어진 유대인 대학살 홀로코스트의 참상이 수년간 지속될 때, 그리고 그 과정 속에서 국제 사회가 보인 놀라운 침묵을 볼 때, 역사가 과연 진보하고 발전하는 것인가에 대한 숱한 현대 철학... 2018-08-10 조평세
-
다시 자유 원정대가 필요하다 자유만큼 혼동되는 언어도 많지는 않을 것이다. 심지어는 평등, 복지, 행복 등의 언어로 자유를 치환하려고 시도하거나 그런 혼란을 고의로 만들어 내는 정치적 레토릭을 우리는 자주 접하게 된다. 자유는 심각한 언어의 변이 혹은 천이 과정을 거치는 중이다. 아마 21세기 들어 거의 모든 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중우정치의 심화 과정 속에... 2018-08-09 조평세
-
제헌절과 국가정체성, 1919년 건국설은 궤변, 역사적 근거 상실 7월 17일 제헌절은 대한민국의 헌법을 제정한 날로, 국가의 기본법(헌법)을 세운 것을 국경일로 경축하고 있다. 이 날에는 외세의 지배와 독재정치를 배제하고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한 헌법체제를 수호하는 의지를 다지는 각종 기념행사가 거행되어 왔다. 그러나 노무현 참여정부 시절인 2005년 6월20일 국무회의에서 ‘관공서의 휴일에 ... 2018-08-07 조평세
-
북한에는 과연 엘리트가 있는가? 요즘은 방송, 신문을 비롯해 엘리트(elite)란 말을 많이 사용한다. “사회에서 뛰어난 능력이 있다고 인정한 사람. 또는 지도적 위치에 있는 사람. ‘우수’, ‘정예’로 순화.”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는 프랑스어이다.사명감과 능력을 겸비한 엘리트들이 국가와 민족을 위하여 헌신하면 그들이 속한 공동체는 무한한 번영(繁榮)을 구가(謳... 2018-08-06 조평세
-
내가 겪은 자유민주주의와 자유 나는 자유대한민국의 품에 안겨 국적을 회복한지 근 10년을 맞고 있는 탈북민 대학생이다. 대한민국에서 대학 생활을 하며 안타까운 점이 적지 않고 북한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갖고 있는 학생들이 많기에 이 글을 쓰려고 마음먹었다. 최근 현 정권의 범람하고 있는 시기상조적인 평화와 통일에 대한 풍조에 애통하며 글을 쓴다.자유민주주... 2018-08-03 조평세
-
한국 보수주의의 재건과 국가정체성의 회복 미국 보수주의의 대부라고 알려진 윌리엄 버클리 주니어는 1950년 예일대학교를 졸업하면서 '예일에서의 하나님과 인간'이라는 책을 펴냈다. 그는 기독교대학이었던 예일대가 그 창립정신을 잃었을 뿐 아니라 무신론과 사회주의에 편향되어 미국의 가치관을 파괴하는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고 고발했다. 예일대에서의 학풍을 토대로 쓴 ... 2018-08-01 조평세
-
대한민국 국가정체성과 북한해방통일 그런데 대한민국은 이승만 이후 그 독립정신, 즉 보수주의적 자유민주가치관을 상실했다. 이 근본의 상실은 여러 가지 이유와 맥락이 있겠지만, 필자는 그 시작이 북한을 저버린 원죄에서 비롯되었다고 판단한다.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이 체결되자 이승만 대통령은 2주 뒤인 8월 10일 성명서에서 북한주민들에게 이렇게 약속했다.“공산 학... 2018-07-31 조평세
-
잃어버린 국가정체성을 찾아서(3) 한국 보수주의와 이승만 사실 애초부터 이러한 기독교 정신의 공감대와 바탕에서 자유민주공화국으로 건국된 미국과 달리, 대한민국은 이러한 보수주의의 가치관이 뿌리내릴 토양이나 기초가 전무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 의미에서 대한민국에 보수주의는 원래 없었다는 말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한 가지 간과할 수 없는 분명한 사실은 70년 전 대한민국 헌법... 2018-07-29 조평세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