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9-06-17 10:26:15
  • 수정 2019-06-17 18:44:52
기사수정

▲ 북한의 남침에 의해 벌어진 6.25. 이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은 면죄부를 주는 발언을 해 문제가 되고 있다. 사진은 6.25 당시의 한 장면 [사진: Why Times DB]


지난 14일 스웨덴 의회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행한 연설 가운데 “반만년 역사에서 남북은 어떤 나라도 침략한 일이 없다”는 대목은 동작동 국립묘지에 안장되어 있는 6.25 전쟁 전몰군경은 물론이고 휴전선 비무장지대와 남북한 도처의 지하에 아직도 수습되지 않은 채 방치되고 있는 수많은 전몰장병들의 혼백(魂魄)이 들고 일어나서 항의하지 않을 수 없는 중대한 국가반역 행위였다.


그가 진정 ‘대한민국 대통령’이라면, 더구나 6.25 전쟁 발발 69주년이 열흘 앞으로 박두하고 있는 시점에서, 도대체 어떻게 이 같은 터무니없는 망언(妄言)을 입에 담을 수 있다는 것인가. 문재인 씨의 이 망언은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의 그의 자격을 스스로 포기한 것이라 아니 할 수 없었다.


도대체 6.25 전쟁이 어떤 전쟁인가? 이 전쟁은 북한의 구 소련 꼭두각시 김일성(金日成)이 구 소련과 중공(中共)의 하수인이 되어서 일요일인 1950년6월25일 새벽 4시경 선전포고는 물론 아무런 예고도 없이 압도적인 군사력으로 38선 전역(全域)에서 기습적인 전면 남침(南侵)을 감행함으로써 도발한 잔인무도한 반민족적인 동족상잔(同族相殘)의 전쟁범죄였다.


이에 대하여 6월27일 긴급 소집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유엔헌장을 위배하는 침략행위”로 단정, 북한군의 즉각적 원상복귀를 요구하면서 유엔 역사에서 최초로 헌장 제42조의 집단안보 조치 조항을 발동하여 유엔군을 파병함으로써 북한의 무력 적화 통일 기도를 좌절시킬 수 있었다.


북한군의 침략을 격퇴한 유엔군의 북진(北進)으로 한 때 섬광(閃光)처럼 반짝했던 한반도 통일의 서광(曙光)은 중공군의 참전으로 인하여 소실(消失)되었고


결국 한반도는 1953년7월27일 체결된 ‘군사정전협정’에 의거하여 경계선이 38선에서 군사분계선으로 바뀐 채 오늘에 이르도록 분단을 유지하고 있다.


유엔안보리는 이른바 ‘항미원조(抗美援朝)’를 외치면서 6.24 전쟁에 뛰어든 중공에 대해서도 역시 ‘침략자’라는 낙인(烙印)을 찍었었다.


문재인 씨는 도대체 6.25 전쟁의 참상(慘狀)을 인식하기는 하는 것인지 모르겠다. 6.25 전쟁은 수십만명의 젊은 군인들의 생명을 앗아 갔고 수백만명의 민간인 인명 피해를 발생시켰으며 한반도 전역을 폐허화하는 막대한 재산상의 피해를 초래했다.


그뿐인가, 전쟁의 와중(渦中)에서 수백만명의 동포들이 본의 아니게 실향민(失鄕民)이 되어서 그로부터 70년의 세월이 경과한 오늘에 이르도록 이산가족의 비운(悲運)의 주인공으로 남겨져 있다.


‘대한민국 대통령’이 이 같은 6.25 전쟁을 가리켜 어떻게 “서로를 향해 총부리를 겨눈 슬픈 역사”라는 제3자적 표현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남북은 그 어떤 나라도 침략한 적이 없다”는 말로 북한의 ‘전쟁범죄’를 ‘세탁(洗濯)’하고 이에 대해 면죄부(免罪符)를 발급해 줄 수 있는 것인가?


이 같은 문재인 씨의 망언은 “국가의 독립, 영토의 보전, 국가의 계속성과 헌법 수호”를 “대통령의 책무”로 규정한 헌법 제66조②항을 중대하게 위반하는 국가반역 행위가 아닐 수 없다.


이 같은 왜곡된 6.25 전쟁관(戰爭觀)을 소유한 문재인 씨가 같은 연설에서 “남북 국민간”의, “대화”의 그리고 “국제사회”의 “신뢰”를 운운한 것은 언어도단(言語道斷)의 자가당착(自家撞着)이 아닐 수 없다.


이 같은 문재인 씨의 망발에 관한 보도를 보면서 필자에게 떠오르는 상념(想念)이 있다. 1972년 남북간에 ‘남북조절위원회’를 통로로 하는 정치적 대화가 시작될 무렵 북한을 상대로 ‘대화(?)’하는 과정에서 있었던 일이다. 이 때 남쪽을 대표했던 중앙정보부장 이후락(李厚洛)이 김일성 등 북측 상대방과 중점적으로 거론했던 화두(話頭)가 ‘6.25 전쟁’이었다. 이후락의 논리는 이런 것이었다.


“궁극적으로 평화적인 방법에 의한 통일을 지향하면서 남북관계를 실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남북간에 상호 신뢰가 조성되어야 한다.


그런데 6.25 전쟁과 같은 민족사적으로 중대한 사건에 관하여 적어도 그 책임 문제가 가려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남북간에 어떻게 신뢰 문제를 가지고 이야기하는 것이 가능하겠는가?


지금 6.25 전쟁을 놓고 이 전쟁을 일으킨 쪽이 거꾸로 상대방이 일으킨 전쟁이라는 거짓 주장을 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상호 신뢰 문제가 논의, 해결되겠느냐는 것이었다.


이후락이 김일성을 만나기에 앞서서 만난 김일성의 동생 김영주(金英柱)는 “6.25는 남쪽에서 일으킨 것”이라는 억지를 고수했었다.


그러나, 김영주와의 두 차례의 대좌(對坐) 뒤에 이후락과 가진 심야(深夜) 대좌에서 김일성이 느닷없는 말을 쏟아놓았다.


“돌아가거든 박 대통령에게 내 말을 전하시오. 6.25 전쟁은 다시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내가 이야기하더라고 전하시오”라는 것이었다.


이후락과 남쪽 대화 관계자들은 우회적이기는 하지만 김일성의 이때 발언이 6.25 전쟁을 도발한 자의 입장에서 “다시는 그런 일이 재발되지 않을 것”이라고 다짐한 것으로 받아들였었다.


김일성의 이 같은 발언이 있은 뒤 이후락을 만난 김영주의 말도 달라졌다. “6.25 전쟁은 남쪽에서 ‘송악산(松岳山)’이요, ‘육탄 10용사’요 하고 자꾸 우리를 건드리니까 우리가 맞받아 친 것”이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김일성 형제의 이 같은 발언은 남쪽과의 비공개 대좌에서 있었던 것일 뿐이었다. 1973년 가을 북한이 유엔총회에 제출한 외교비망록에서 북한은 여전히 “6.25는 미국과 미제(美帝)의 괴뢰 남조선이 일으킨 북침(北侵)”이라는 주장을 고수하고 있었다.


이때 6.25 전쟁에 관한 북한의 이중적 작태를 보면서 필자의 마음속에서는 이러한 다짐이 형성되었었다.


“6.25 전쟁에 관한 북한의 입장이 공식적으로 수정되지 않는 한, 진정한 의미에서, 남북간의 신뢰는 결코 조성될 수 없고 따라서 남북간의 어떠한 현안 문제에 대해서도 신뢰에 바탕을 둔 평화적 해결은 불가능하겠구나”라는 것이었다.


그때부터 필자의 마음속에서는 “비록 지금에 와서 전범재판(戰犯裁判)을 열어서 전쟁 도발 책임자를 색출하여 처벌하는 것은 비현실적일지는 몰라도 최소한 역사의 차원에서 6.25 전쟁의 발발 및 진행 과정이 규명되고 북한이 전쟁 도발의 책임을 스스로 인정하고 사과하면서 재발 방지를 약속하는 일이 이루어질 때까지는 남북간에 현안 문제 해결을 바탕으로 소위 신뢰 문제를 거론하는 것은 불가능하겠다”는 생각이 굳게 자리 잡게 되었었다.


사실은 이 같은 인식이 냉전시대(冷戰時代) 기간 중 동서(東西) 양 진영 사이의 모든 협상을 통하여 서방측이 견지했던 ‘금언(金言)’이기도 했다. “믿으라, 그러나 그에 앞서 검증하라”(Trust but Verify First)는 것이었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북한 공산정권에 의한 6.25 남침 69주년을 눈앞에 둔 시점에서, 다른 사람이 아닌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남북은 어떤 나라도 침략한 일이 없다”면서 “남북이 서로 총부리를 겨누었던 슬픈 역사” 정도로 6.25 전쟁의 의미를 훼손하는 망언의 주인공이 되는 기가 막히는 현실을 직면하고 있다.




동작동 국립묘지는 물론 전국의 산하(山河)에서 아직도 발굴되기를 기다리는 무수한 무명의 6.25 전몰장병들의 유혼(幽魂)들이 일제히 들고 일어나서 “당신이 대한민국 대통령이란 말을 할 수 있느냐”고 항의하면서 “당장 청와대에서 물러나라”고 요구하는 일이 일어난다고 해도 결코 탓할 일이 아닐 것 같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hytimes.kr/news/view.php?idx=409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현재의견(총 1 개)
  • danielspark2019-06-17 17:09:16

    6.25 전쟁에서 전사하신 영령들을 모독해도 분수가 있지, 어떻게 저런 자가 대통령이라고 할 수 있을까?

정치더보기
북한더보기
국제/외교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