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31일 "한국과 UAE 양국 모두의 이익에 부합하는 혁신적 투자 파트너십 프로젝트를 발굴해 (UAE의 투자에)화답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아랍에미리트(UAE)투자유치 후속조치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모두발언을 통해 "UAE 국부 펀드 300억 불 투자는 단순한 협력의지를 넘어 신속히 집행될 수 있는 실효적 합의"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한-UAE 정상회담에서 합의하고 공동성명에 명시한 UAE 국부펀드 300억불 투자는 규모면에서 아주 압도적이며, 이 외에도 민간기업 24건, 공공 24건 등 총 48건의 MOU로 61억불 규모의 수출 투자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순방 성과를 강조했다.
이어 "아직 금액이 미정인, 투자를 위한 MOU가 많기 때문에 향후 실제 투자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같은 UAE 국빈방문 성과를 바탕으로 '제2의 중동붐'을 실현하기 위한 후속 조치 방향도 제시했다.
윤 대통령은 300억불 투자 유치와 관련해 "정부부처 중심의 UAE 투자협력위원회와, 공공·민간·투자기관·기업들이 함께 참여하는 협력 네트워크를 출범시키고 투자대상 분야와 방식에 대한 우리의 입장을 한-UAE 투자협력 플랫폼을 통해 UAE측과 신속하게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48건의 MOU와 관련해 "조속히 구체적 결실로 이어질 수 있도록 원스톱 수출수주지원단에서 프로젝트별로 정책적 외교적 지원을 통합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또 "순방 기간 중 투자 신고를 접수했거나 투자 유치가 임박한 프로젝트는 신속한 투자 집행을 위해서 산업부와 코트라가 지자체 등과 협업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투자·수출확대를 위한 '정부-기업 원팀을 거듭 강조하며 기업에 대한 지원 의지를 재확인했다.
윤 대통령은 "경제·안보·첨단기술이 패키지로 운영되는 블록화된 경제전쟁에서 우리 기업들이 닳고 닳은 낡은 신발로 뛰게 할 수는 없다"며 "기업이 뒬 수 있도록 정부가 기업의 영업사원도 하고 기획사원도 돼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순방 성과의 즉각적인 후속조치와 기업들이 경제 전쟁에서 힘껏 뛰고 경쟁할 수 있도록 우리 제도의 글로벌 스탠다드로의 전환을 탄탄히 준비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순방 경제사절단을 포함한 이날 회의 참석자들에 "제2의 중동붐이 이뤄질 수 있도록 모두 지혜를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추경호 경제부총리가 투자·금융 분야 한-UAE 협력 후속조치 계획을,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산업·에너지 분야 협력 후속조치 계획을 보고했다.
이어 진행된 토론에서는 기업, 협회 등 민간 참석자들이 이번 순방을 계기로 한 UAE측과의 협력 진행 상황을 공유하하고 수출·투자 협력 성과의 신속한 구체화를 위한 민관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국제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