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Update
2023.06.08
(목)
오피니언
정세분석
칼럼/논단
논평/사설
뉴스쪼개기
뉴스/분석
정치
국방/안보
국제/외교
북한
경제
사회
교육
문화
과학기술
지역
중국
미국
Why TV
Why TV 정세분석
Why TV News
Why TV 오피니언
Why TV 칼럼
Why TV 특별기획
Why Times EDU
Why TV 인터뷰
Why TV Live
추부길TV
행복칼럼
행복메시지
특집
청년보수운동
5.18 40주년 특집
기획/연재
기획/연재
대한민국 근현대사
일본 근현대사
서유럽 근대사
성명/동정
국회, 주목 이 사람!
성명서/발언대
단체소식/동정
WT필진
편집위원
칼럼니스트
홈
[Why TV 정세분석]
[Why Times 정세분석 2123] 중국 5월 수출 급하락 쇼크, 입 닫은 시진핑
[새창]
추부길 편집인
2023-06-08
[정세분석]
[정세분석] 중국 5월 수출 급하락 쇼크, 입 닫은 시진핑
[새창]
추부길 편집인
2023-06-08
[Why TV 정세분석]
[Why Times 정세분석 2122] 사악한 푸틴, '크름반도 포기' 자충수
[새창]
추부길 편집인
2023-06-08
[정세분석]
[정세분석] 사악한 푸틴, '크름반도 포기' 자충수
[새창]
추부길 편집인
2023-06-08
[Why TV 정세분석]
[Why Times 정세분석 2120] 미국이 대중전략을 디커플링에서 디리스킹으로 바꾼 이유?
[새창]
추부길 편집인
2023-06-07
[정세분석]
[정세분석] 미국이 대중전략을 디커플링에서 디리스킹으로 바꾼 이유?.
[새창]
추부길 편집인
2023-06-07
[Why TV 정세분석]
[Why Times 정세분석 2121] 공황상태에 빠진 러시아
[새창]
추부길 편집인
2023-06-07
[정세분석]
[정세분석] 공황상태에 빠진 러시아
[새창]
추부길 편집인
2023-06-07
[Why TV 정세분석]
[Why Times 정세분석 2119] “우크라이나 대공세 시작?” 호들갑 떤 러시아
[새창]
추부길 편집인
2023-06-06
[정세분석]
[정세분석] “우크라이나 대공세 시작?” 호들갑 떤 러시아
[새창]
추부길 편집인
2023-06-06
[Why TV 정세분석]
[Why Times 정세분석 2118] 중국의 진퇴양난, 시진핑이 자초한 지방정부 디폴트 위기
[새창]
추부길 편집인
2023-06-05
[정세분석]
[정세분석] 중국의 진퇴양난, 시진핑이 자초한 지방정부 디폴트 위기
[새창]
추부길 편집인
2023-06-05
[Why TV 정세분석]
[Why Times 정세분석 2117] 우크라의 러시아 흔들기, “모든 것이 무너지고 있다!”
[새창]
추부길 편집인
2023-06-05
[정세분석]
[정세분석] 우크라의 러시아 흔들기, “모든 것이 무너지고 있다!”
[새창]
추부길 편집인
2023-06-05
[Why TV 정세분석]
[Why Times 정세분석 2116] 천안문 시위 34주년, 진실 알려지면 中공산당 무너진다!
[새창]
추부길 편집인
2023-06-04
[정세분석]
[정세분석] 천안문 시위 34주년, 진실 알려지면 中공산당 무너진다!
[새창]
추부길 편집인
2023-06-04
[Why TV 정세분석]
[Why Times 정세분석 2115] 우크라 전쟁 승패가 한국의 미래와 직결되는 이유?
[새창]
추부길 편집인
2023-06-03
[문화]
[추부길 칼럼] 꿈을 포기하는 어리석음
[새창]
추부길 편집인
2023-06-03
[정세분석]
[정세분석] 우크라 전쟁 승패가 한국의 미래와 직결되는 이유?
[새창]
추부길 편집인
2023-06-03
[Why TV 정세분석]
[Why Times 정세분석 2114] 자신감 넘치는 우크라이나, 올해안에 전쟁 끝낸다
[새창]
추부길 편집인
2023-06-02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끝
최신 등록 뉴스
1
KBS 김의철 "수신료 분리징수 철회시 물러나겠다"
2
펜스, 美대선 출마 선언…"트럼프는 절대 안돼"
3
김남국 "김성원·장예찬 명예훼손으로 고소"
4
감사원, 선관위 자료 제출 거부하자 직접 방문
5
우크라 댐 붕괴로 농경지 사막화…곡물가 치솟나
6
文의 종전선언 삭제…정부, 안보전략 기조 틀었다
7
이재명, 이래경 낙마 사태에 "결과에 대해 무한책임 질 것"
8
러·우 댐 폭파 배후 공방…美·英 "단정 일러"
9
11년만 안보리 진입…尹 "글로벌 외교 승리"
10
'깡통폰 논란'에 가슴 친 宋…현장 고성·충돌
많이 본 기사 (최근 한 달)
1
尹 "G7 주도 기후클럽 참여 개발도상국 녹색성장 지원"
2
尹, 취임 1주년 현충원 참배 "자유·혁신의 나라 만들겠다"
3
[속보] "젤렌스키, 히로시마 G7 정상회의 대면 참석"
4
국조실 "후쿠시마 시찰단 오염수 안전성 검토 우선"
5
모스크바 공습에…푸틴 "명백한 테러, 두고보자"
6
尹 "오월정신은 헌법정신 자유민주 위협에 맞서야"
7
"김남국, 의원 자격에 의문" 민주 윤리심판원장의 직격
8
이재명, 이래경 낙마 사태에 "결과에 대해 무한책임 질 것"
9
선관위, 감사원 감사 거부 "특혜 채용 4명 수사 의뢰"
10
다닐로프 "지금이 러에 반격할 역사적 기회…실수 용납 안돼"
정치
더보기
김남국 "김성원·장예찬 명예훼손으로 고소"
김남국 무소속 의원이 8일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과 장예찬 국민의힘 최고위원을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으로 고소했다고 밝혔다.김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어제 오후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과 장예찬 국민의힘 최고위원을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죄로 고소장을 제출했다"고 썼다.그는 "공직자를 향한 의혹 제기와 ...
文의 종전선언 삭제…정부, 안보전략 기조 틀었다
윤석열정부의 국가안보전략 지침은 북한의 핵·미사일 고도화가 '가장 심각한 도전'이라고 지적하고, 강력한 억제력에 기반한 한·미·일 3국 협력을 통해 대응하겠다는 기조를 분명히 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의 종전선언은 제외됐다.윤석열정부의 외교·안보전략을 담은 국가안보전략서가 7일 발간됐다.국가안보전략은 2004년 이...
이재명, 이래경 낙마 사태에 "결과에 대해 무한책임 질 것"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이래경 혁신위원장 낙마 사태에 대해 "결과에 대해 무한책임을 지는 것이 당 대표가 하는 일"이라고 밝혔다.이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취재진과 만나 혁신위원장 인선을 둘러싼 이 대표의 책임론 등에 대한 질문에 "당내, 당에서 벌어지는 문제에 대해 당 대표가 언제나 책임을 져야 되는 것"...
이래경 사퇴 후폭풍…민주 지도부 책임론 직면
선관위 압박 이어가는 與…'특채 방지법' 추진
이래경 혁신위 반나절 만에 좌초 임명한 이재명 리더십 위기 봉착
대통령실 "TV 수신료 분리징수 위한 법 개정 권고"
북한
더보기
北, 정찰위성 2차 발사 예고…수일내 단행할 수도
통일부는 1일 북한이 공언한 2차 정찰위성 발사 시기와 관련 북한이 예고한 11일 내에 또 다른 발사가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을 내놨다.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관련 질의에 "정부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답했다.북한은 지난달 29일 5월 31일 0시부터 6월 11일 0시 사이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국제해사..
합참 "북한 정찰위성 발사체 잔해물 수거 착수"
군 당국이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체가 추락한 지점에서 잔해물 수거 작전에 돌입했다.합동참모본부는 31일 오전 8시5분께 어청도 서방 200여 km 해상에서 '북 주장 우주발사체' 일부로 추정되는 물체를 식별해 인양 중에 있다고 밝혔다.어청도는 전북 군산에서 서쪽으로 60여km 떨어진 섬이다.북한은 이날 "신형위성운반로켓(우주발사체) ...
또 실패한 북한 정찰위성 "지상연소시험 부족 가능성"
북한이 31일 오전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실시한 군사정찰위성 발사가 실패한 것과 관련해 전문가들은 북한이 지상연소시험을 충분히 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이날 오전 6시27분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예정됐던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위성운반로켓(우주발사체) &...
北, IMO에도 위성발사 통보…31일~내달 11일
6년만에 일가족 어선 귀순…아이 포함 10여명
북한 첫 정찰위성 발사 임박…"이르면 3주 후"
국제/외교
더보기
펜스, 美대선 출마 선언…"트럼프는 절대 안돼"
마이크 펜스 전 미국 부통령은 7일(현지시간) "지구상에서 가장 위대한 나라 미국의 전성기는 아직 오지 않았다"며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공화당 대선 티켓을 두고 경쟁하게 돼 미국 현대사에서 처음으로 자신의 전 러닝메이트와 맞붙는 부통령이 됐다.펜스 전 부통령은 이날 폭스뉴스와 트위터를 통해 공...
우크라 댐 붕괴로 농경지 사막화…곡물가 치솟나
우크라이나 헤르손주의 카호우카댐이 무너져 댐이 가둬놓은 거대한 저수지 물이 쏟아지면서 댐 아래 하류의 마을과 가옥뿐 아니라 수만 헥타르(㏊)의 농경지가 침수되고 있다.우크라 농업부는 이 침수로 인한 농작물 유실과 함께 댐이 형성한 카호우카 저수지 물이 빠져 강물이 바닥을 드러내면 더 큰 면적의 유역 농경지에 댈 농업용수가 .
러·우 댐 폭파 배후 공방…美·英 "단정 일러"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주 드니프로강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와 관련,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책임 공방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미국과 영국은 배후를 단정하기엔 이르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美 "아직 단정 못해…러에 궁극적 책임"]CNN 등 외신들에 따르면 존 커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6일(현지시간) 정례 ...
11년만 안보리 진입…尹 "글로벌 외교 승리"
우크라 "댐 폭파는 러 테러"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 촉구
우크라군 "우리군의 반격개시 및 패퇴는 가짜뉴스"
젤렌스키 "러군에 어린이 500명 목숨 잃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