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민국 근현대사: 제13화] 강화도 연무당의 설전(舌戰)과 조일수호조규
- [강화도에 나타난 일본의 전권대신과 이노우에 가오루] 운양호사건이 발생한 이듬해 초 일본에서는 군함 6척과 300명의 군사가 딸린 전권사절단을 조선에 파견...
- 2019-05-24
-
- [대한민국 근현대사: 제12화]일본의 명치유신과 정한론의 전초전-운양호사건
- 조선이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겪는 사이 일본 사회는 크게 변하고 있었다. 미국의 압력으로 1854년 개항을 하게 된 일본은 이후 영국, 러시아, 네덜란드, 프랑...
- 2019-05-07
-
- [대한민국 근현대사: 제11화]고종의 ‘멘토’ 박규수와 ‘꿈나무’ 박영효
- [고종의 멘토 박규수] 고종 즉위 후 고종에게 직간접으로 큰 영향을 미친 왕실 외의 인물은 누구일까. 고종이 ‘제왕수업’을 할 당시로부터 직접 정사를 챙...
- 2019-02-24
-
- [대한민국 근현대사: 제10화] 미군 함상의 수자기(帥字旗)와 조선의 척화비
- [돌아온 광성보의 수자기]한국근대사 관련 사진 자료집을 대하다 보면, 파괴된 진지 위에 성조기(星條旗)와 함께 열을 지어 선 미국 해군의 사진을 보게 된다. ...
- 2019-02-18
-
- [대한민국 근현대사: 제9화] 조선과 미국이 처음으로 마주쳤을 때-제너럴 셔먼호 사건
- [한미관계의 출발과 현재] 한국과 미국이 역사상 처음으로 외교관계를 맺은 것은 1882년이다. 당시 고종은 미국과의 수호조약 체결을 고대하였고, 미국 측의 ...
- 2019-02-15
-
- [대한민국 근현대사: 제8화]파리국립박물관의 조선조 의궤(儀軌)와 그의 귀환
- 병인양요 당시 있었던 프랑스군의 강화부 약탈은 1860년 영, 불 연합군의 북경 약탈을 연상케 한다. 당시 영불 연합군은 북경을 쳐들어가 원명원(圓明園) 등의 ...
- 2019-02-05
-
- [대한민국 근현대사: 제7화] 나폴레옹 3세의 군대와 조선군의 싸움: 병인양요
- [한강변의 절두산 성지와 조선을 탈출한 리델 신부] 서울 한강변의 88고속도로를 따라 김포공항 쪽으로 가다보면, 강 건너로 누에머리처럼 보이는 작은 봉우리...
- 2019-02-03
-
- [대한민국 근현대사: 제6화] 조선의 천주교도 박해와 오페르트 굴총사건
- [조선의 천주교도 박해]18세기말 천주교는 조선에서 독자적으로 교회를 설립하는 등 발전을 보게 되었지만, 조선 정부로부터 혹독한 박해를 받기도 하였다. 순...
- 2019-01-29
-
- [서유럽 근대사] 엔리케 항해 왕자(Infante Dom Henrique)
- [엔리케 항해 왕자(Infante Dom Henrique, 1394.03.04.-1460.11.13.)][출생] 엔리케 왕자는 14세기 말에 아비스 왕조를 연 포르투갈 국왕 죠앙 1세(재위 1385-1433, Avis 왕조 개창...
- 2018-10-17
-
- [일본근현대사] 미카도(御門, 帝)
- 미카도(御門, 帝). 한자로는 御門(어문)이라고 쓴다. 御門은 일본어로 ‘미카도’라고 읽는데, 御(존경의 의미를 갖는 접두사)+門(출입하는 곳)」의 합성어로...
- 2018-10-17
-
- [대한민국 근현대사: 제5화] 근정전의 수수께끼, 칠조룡
- 현재 경복궁은 단계적으로 복원을 진행하고 있다. 경복궁 내부는 나라의 정사는 물론 궁중 내부의 일을 보는 500여 동의 수많은 전각으로 채워져 있던 공간이...
- 2018-10-12
-
- [대한민국 근현대사: 제4화] 경복궁, 그 유래와 흥선대원군
- “궁궐은 임금이 나라의 일을 보는 곳이자 사방이 우러러 보는 곳이며, 신하와 백성들이 모두 나아가는 곳이므로 제도를 장엄하게 해서 위엄을 보이고, 이름...
- 2018-10-06
-
- [대한민국 근현대사: 제3화]고종을 왕으로 만든 여인, 조대비는 누구인가
- 고종이 왕으로 즉위하고 경복궁을 중건하는 과정에 결정적 역할을 한 여성이 있다. 신정왕후(神貞王后, 1808-1890)가 그녀이다. 당대 역사서술이나 사극 등에서...
- 2018-09-17
-
- [대한민국 근현대사: 제2화] 고종 즉위와 초기의 내외 정책
- 동치(同治) 2년(1863) 12월 8일, 강화도령으로 널리 알려진 철종이 승하하고, 불과 12세의 소년이 5일 뒤인 12월 13일 창덕궁 인정문(仁政門)에서 국왕으로 즉위하...
- 2018-09-09
-
- [대한민국 근현대사: 제1화] 서양 근대화 세력이 동아시아에 몰아치다]
- Ⅰ. 개항과 근대화 과정의 시련19세기의 산업혁명은 인류 문명사에 대전환을 가져오게 된다. 농업에서 공업으로 주요 산업이 이동하고, 개인의 자유를 구속하...
- 2018-09-02
-
- 북한 핵 폐기와 ‘진정한 평화’부터 추구하는 대북정책을 추진해야
- VI. 「8․15 평화통일구상 선언」정신에서 북한 핵 폐기와 ‘진정한 평화’부터 추구하는 대북정책을 추진해야 2018년 초부터 조성된 동북아 정세에 맞추어 한...
- 2018-08-22
-
- 「8․15 평화통일구상 선언」 의 남북한 체제경쟁과 대화 개시 제의 평가
- 일류 리더는 국가, 사회와 조직에 소속된 사람들에게 꿈과 비전을 제시하고 그 비전에 성취하는데 필요한 일에 각자가 지닌 고유한 능력을 기꺼이 쏟아 붓게...
- 2018-08-20
-
- 박정희의 8.15선언 이후 정책 전환과 관련된 국민과의 대화와 국내외 및 북한 반응
- 박 대통령의 비전 제시와 시스템에 의한 정책결정에 추가하여 강조되어야 할 것은 그는 대중 앞에서는 매우 정제된 언어를 구사하였다는 것이다. 그 당시는 ...
- 2018-08-20
-
- 「8․15 평화통일구상 선언」 준비 및 결정 시스템
- 「8․15 선언」과 관련하여 강조할 것은 국가지도자의 비전에 이어 당시 획기적으로 정책 전환을 결정할 때의 시스템이다. 「8․15 선언」 발표 준비는 대통령...
- 2018-08-15
-
- 「8․15 평화통일구상 선언」 발표에 영향을 미친 환경
- 외교정책결정과정을 분석한 학자들 중에는 각 국가의 외교정책의 목표, 수단과 전략은 국제정세, 국내정세와 상대방 국가의 정세와 같은 객관적 환경과 정책...
- 2018-08-14